본문 바로가기

게임/패스오브액자일2

지오너 백작 쉽게 잡는 방법 - 패스오브액자일 초반 준비중 냉기저항 아이템 모으기

반응형

이 글의 핵심 요약

패스오브액자일2를 처음 시작하고서 제일 처음 맞게 되는 난관인 액트1 마지막 보스 '지오너 백작' 공략 준비에 대한 내용

  1.  약 15레벨부터 냉기저항이 붙은 아이템 보이면 창고에 모아두어라.
  2. 초보라면 그냥 케릭터 레벨 18렙 되면 지오너 백작 트라이 
  3. 공략 영상 한번만 보고 패턴 파악 후 트라이

패스오브액자일 2를 처음 하게 되거나 이와 관련된 컨트롤이 아직 미숙한 초보라면 가급적 위 3가지를 준비하여 18렙에 백작을 잡는 시도를 하길 바란다. 이유는..

안그래도 이 패스오브액자일이 타 핵앤슬러시 게임 대비 초입자에게 난이도가 있는 공략과 컨트롤이 필요한 게임으로 소문이 났다. 특히 초기 액트1 마지막 보스 지오너 백작은 '뉴비절단기'라는 별명이 생길만큼 많은 신규 유저들이 게임을 접고 싶게 만드는 구간이다.

근데 이게 아직 명확한 정보가 잘 없어서 그런데 조금만 알고 보면 쉽게 넘길 수 있는데 이걸 몰라 포기해버릴 수 있을거같아 기록을 남겨 공유한다. (나 역시 접고 싶었다. 굳이 이렇게 어렵게 게임을 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1. 액트1 마지막 보스만 곱게 패스하면 난관을 넘길 수 있다.

이 지오너 백작말고 액트1에 보스들은 사실상 어지간한 게임 좀 해본 사람들은 크게 어려움없이 패스할 수 있다. 다만 게임 좀 했다는 살마들도 백작을 못 넘기고 계속 트라이하게 되면 그냥 접어버릴 수 있기에 우리는 무리하지 말고 현명하게 패스시켜보자는것이 이 글의 취지다.


2. 가장 큰 핵심은 '냉기저항'이다.

작성자는 3번 트라이하고서 백작의 치명적 스킬은 냉기스킬임을 파악하고서 냉기저항을 69%로 만들어 트라이 후 한번에 잡았다. (얻어 맞아도 죽지도 않는다.)


이 지오너 백작이 주로 사용하는 스킬이 거진 냉기스킬이고 특히나 여러 초보들이 죽게 되는 스킬이 하늘에 무작위로 냉기 빛이 내리는데 워낙 빠르게 데미지를 입히고 이때 냉기 저항이 별로 없으면 쉽게 피가 빠지며 연타에 순간적으로 죽게된다.
근데 이 간단한 부분을 관과한채 그저 꾸준히 주워 모은 아이템중 각 부위별 가장 좋은걸 그대로 차고서 시도하니 자꾸 눕게 되고 실마리를 컨트롤이라 생각하며 시도하다 좌절하게 된다.

냉기저항 약 60%이상만 맞춰도 어지간해서 죽지 않는다. (가급적 17레벨~18레벨에 시도)
중요한건 갑자기 없는 냉기저항 아이템을 맞춘다면 버거울것이다. 그냥 한 12레벨부터 눈에 보이는 파템이상 냉기저항 아이템을 우선 보이면 창고에 보관해두자.
백작만 넘기면 그 아이템 없어도 되고 실제로 백작에서는 딜이 모자르는게 아니라 냉기 스킬에 다 죽어서 못넘기는거니 냉기저항템을 한 3개~4개만 맞추면 쉽게 패스할 수 있다.

이게 내가 한 15레벨부터 모아두었던 냉기저항템 2개와 꾸준히 게임하면서 마을 상점에서 아이템 구매에서 보다가 눈에 보이던 냉기저항 아이템(나의 경우 반지가 괜찮은게 보여서 1,600골드 주고 구매) 세팅이다. 이 3개 아이템만 겯들이니 어지간한 공격에 피가 빠지지 않았다. 공략 조금만 알면 백작 스킬 몇대 맞아도 죽지 않는다.

 

3. 가급적 18레벨에 트라이하자.


그리고 보통 이 백작을 맞이하게 될때면 케릭터 레벨이 16렙~17레벨정도 되었을건데 내가 보기엔 조금 모자란다. 물론 컨트롤이 좋고 경험이 많은 사람은 괜찮겠지만 아직 뉴비고 적응이 필요하고 좌절을 겪고 싶지 않은분이라면 그냥 어차피 랩업을 해야하니 다른데 더 돌면서 18레벨 맞추고 시도하길 바란다. 그게 괜한 시간 허비 안하고 무난히 패스오브액자일2에 좌절을 겪지 않고 게임을 즐기는 지름길이라 생각한다. (죽으면 경험치 패널티도 있다. 괜히 죽으면 좋을게 없다.)


 

★ 레인저 기준 세부 공략.

17레벨부터 18레벨이 되기전까지 가급적 오감마을 부분에서 계속 뺑뻉이 돌면서 넴드 잡으며 다니자.그러면 어느 순간부터 활 맥뎀이 30이 넘는게 드랍된다. 그걸 차고 냉기저항 맞추고서 백작 가게되면 그리 소문으로 듣던 '뉴비절단기'라는 말이 왜 생긴건지하며 의아해하며 쉽게 패스할 수 있게 된다.

상점에서 굳이 사지 않아도 이정도 아이템은 오감마을근처들 뻉뻉이 몇번 돌다보면 나온다. 어차피 경험치 쌓아 레벨업해야 하는 게임이니 서두르지말고 18레벨까지 돌아보자.

근데 이걸 무시하고 그냥 트라이해보면 왜 좌절들 하는지 느낄 수 있게 된다. 

또 하나 중요한게 바로 정신력젬 즉, 버프 스킬 활성이다.

이게 있어야 어지간한 보스전에서 쉽게 죽지 않으며 또한 백작에서도 도움이 된다.

보스전에서 우리가 난관을 느끼는건 딜이 모잘라 못죽이는게 아니라 순간 데미지가 큰 스킬을 못 피해서 죽어서 처음부터 다시 트라이해야함에 좌절을 느끼는것이다. 그러니 데미지보단 보스전에선 잘 버티는거에 집중하면 얼추 수월해진다.

그 외 나의 레인저 기준에서 세팅한 스킬들은...

피뢰침 보조젬 강해진 효과
피뢰침 보조젬 난사
번개화살 보조젬 무도의 속도
번개화살 보조젬 가속

이렇게 세팅하는게 기본적인 세팅이다. (어느 유투버도 이렇게 맞추었었고 꼼수 없이 가장 일반적인 방식인듯하다.)
피뢰침을 수시로 깔고 그 위에 백작이 근처로 오며 번개화살을 쏴 추가 데미지를 가하는거다.

다만 3가지 스킬에서 유의하여 회피를 잘 하면 딜을 해야한다.

1. 늑대변신 상태에 빨간 원 광역스킬
이 스킬이 어지간한 숙련자도 완벽히 피하지 못하고 자꾸 맞게 될만큼 빠르게 시전되어 제법 큰범위에 공격을 아주 큰 데미지로 가한다.

이게 어느 유투버의 공략영상에 한 장면인데 이 사람은그 빨간원이 생겼을때 반응이 조금 늦어 이렇게 크게 데미지를 입은것도 있지만 (사실 이정도도 빨리 피한편인데 이렇게 못피하면 한방에 눕는다.) 세팅이 이 백작 트라이에 특화된게 아닌다.
이 사람은 데미지양을 늘리기 위해 '천둥의 전령'을 켜고 트라이했다.

 

이 보스전은 데미지가 모잘라 공략에 실패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것이다. 생존이 우선이니 이 공격피해 상승 버프보다는 회피력 상승 버프를 켜고 트라이하면 좀 더  안전하게 트라이 할 수 있다.

 '바람의 무희' 버프를 활성화해두어 회피력을 늘려 피 깎이는 양을 줄이자. 이유는 모르겠지만 이 회피력을 늘리니 저 스킬을 맞았다 하더라도 피가 덜 빠지는걸 확인하였다.

다만 이 스킬 구간에서 죽어서 다들 어려워하는게 사실 아니다. 문제는 다음에 나오는 스킬이다.

2. 백작의 냉기 별똥별 스킬 시전시엔 공격을 멈추고 피하는거에만 집중하자

백작이 야수로 변신 후 칼을 하늘위오 들기 시작하면 하늘에서 별똥별이 내리니 피하는데만 집중하자.

이게 백작이 사용하는 가장 위험한 스킬이다.

보통 여기서 죽는다. 보기보다 데미지가 아주 크게 들어오며 맞게 되면 이속도 급격히 줄면서 추가로 또 그 자리에 뼐똥별이  내리면 2대를 연타로 맞으며 죽게된다. (냉기저항없으면 한방에들 죽는다. 운좋게 냉기저항이 어떤 아이템에 붙어 있어놨기에안죽고 사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적당한 냉기저항만으로 트라이하다가 괜한 실수나 운이 나빠 죽으며 다시 처음부터 하게 되는걸 반복하며 좌절하지 말고 그냥 냉기저항템을 적당히 썪어주고 트라이하면 안전하게 공략된다.

3.안개 구간에서 4초마다 스페이스바 클릭!

 

야수 변신 상태일때 중간을 비워두고서 안개가 생기고 4초마다 안개에서 갑자기 나타나 지나가며 크게 데미지를 입히는데 이것도 사실 18레벨 정도되면 거진 한대 맞는다고 죽지는 않는다. 그래도 안전하게 할려면 처음 한번 지나갔을때부터 바로 속으로 4초를 세고 스페이스바를 클릭하면 우릴 못 맞추고 백작이 지나간다. 이렇게 3번정도 하면 안개 페이즈는 지나간다.

나같은 경우 이렇게 하니 한대도 맞지 않아 피가 거의 깎이지 않았다.


생각같아선 좀 더 자세하게 영상까지 찍어 작성하고 싶은데..삶이 바쁘기에..그냥 이정도로만 허술하게 기록을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