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포인트로 슬라이드쇼를 만들때 페이지간에 전환 효과중 밀어내기가 있는데 이걸 사용하게 되면 앞 페이지에 글자까지 같이 옆으로 넘어가는 모습을 보게 된다. 앞페이지를 1페이지라 하고 뒷페이지를 2페이지라 한다면 1페이지에 작성해둔 글자가 2페이지로 넘어갔을때도 그대로 그자리에 있는 효과를 구현하려 한다.
그럴러면 전환 효과중 그냥 밀어내기를 하면 안되고 모핑( 파워포인트 2019버전 이후부터 생긴 기능)효과를 적용하여 만들어야한다.
- 1페이지에 2페이지에 보여질 이미지까지해서 2개의 이미지 같이 나란히 나열
- 1페이지에 글자 삽입
- 1페이지에 모든 내용 그대로 2페이지에 복사
- 2페이지에 텍스트는 그 자리에 두고 이미지 2장만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 2페이지에 전환 효과 모핑(Morph) 적용
- 파워포인트의 모핑효과 개념과 동작원리 이해하기
1. 페이지에 2페이지에 보여질 이미지까지해서 2개의 이미지 같이 나란히 나열
2. 페이지에 글자 삽입
우선 2개의 예시 이미지를 만들어 나열시켰다. 바탕에 다 채워질 이미지를 배치하고 2페이지에 보여질 이미지까지 같이 1페이지에 첫번째 이미지 옆에 나열시켜 붙여둔다. 그리고 글자도 화면에 보여질 위치에 배치하여 작성해둔다.
3. 1페이지에 모든 내용 그대로 2페이지에 복사
이제 첫페이지 슬라이드를 선택하여 그대로 복사하여 추가로 페이지를 하나 붙여넣기 하여 똑같은걸 만들어준다.
4. 페이지에 텍스트는 그 자리에 두고 이미지 2장만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이제 2페이지에서 이미지 2장을 같이 선택하고서 원하는 방향(여기선 왼쪽으로 해주겠다.)으로 이동시켜준다. 그리고 글자는 원래 위치에 그대로 둔다.
5. 페이지에 전환 효과 모핑(Morph) 적용
이제 2페이지를 선택한 상태에서 대분류 메뉴에서 전환을 눌러 모핑(Morph)옵션을 선택해주고 모니터해보자.
자 이렇게 글자는 중앙에 그대로 있고 이미지만 왼쪽으로 이동하는걸 볼 수 있다.
이게 그냥 왼쪽으로 밀러내기 전환 옵션과 다른 개념으로 모핑효과는 전환되는 두개의 슬라이드간에 이미지 차이를 스스로 인식하여 자연스럽게 변현되는 방식의 기능인데 참 묘한 기능이다. 우선 이번에는 이렇게 밀러내기 효과를 좀 더 다이나믹하게 구현하기 위해 모핑을 사용해봤는데 앞으로 좀 더 모핑 기능으로 더 다양한 표현을 구현해보는걸 알아보도록 하자.
6. 파워포인트의 모핑효과 개념과 동작원리 이해하기
Morph의 주요 동작 원리
Morph 기능이 작동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핵심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1️⃣ 개체 식별(Object Tracking)
PowerPoint는 두 개의 슬라이드에서 같은 개체(텍스트, 이미지, 도형 등)를 감지하여 변형을 적용합니다.
이를 위해 개체의 이름(Shape Name) 및 고유 속성(ID) 을 비교하며, 같은 개체라고 인식하면 모핑을 적용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페이드 효과를 기본 적용합니다.
✅ 개체가 같은 것으로 인식되는 조건
- 같은 개체 이름(Shape Name)이 유지될 경우
- 텍스트 박스 내부 텍스트가 일부만 변경된 경우
- 이미지가 교체되었지만 유사한 크기와 위치를 가질 경우
📌 만약 개체가 다른 것으로 인식되면 기본 페이드(흐려지면서 사라지는 효과)가 적용됨.
2️⃣ 속성 기반 애니메이션(Property Interpolation)
PowerPoint는 두 개의 슬라이드를 비교하여 위치(Position), 크기(Scale), 회전(Rotation), 색상(Color), 투명도(Opacity) 등 속성 차이를 감지하여 애니메이션을 자동 생성합니다.
🛠 예시 1: 위치 변화
- 첫 번째 슬라이드에서 개체가 왼쪽(100,100) → 두 번째 슬라이드에서 오른쪽(500,100)
- Morph는 중간 프레임을 자동 생성하여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구현
🛠 예시 2: 크기 변화
- 첫 번째 슬라이드의 도형 크기: (100px x 100px) → 두 번째 슬라이드의 크기: (200px x 200px)
- Morph는 점진적으로 확대되도록 처리
🛠 예시 3: 투명도 변화
- 첫 번째 슬라이드에서 개체가 불투명 (Opacity 100%) → 두 번째 슬라이드에서 투명 (Opacity 0%)
- Morph는 점진적으로 사라지는 애니메이션을 적용
⚙️ Morph는 어떻게 프로그래밍되어 있을까?
PowerPoint의 Morph 전환은 **컴퓨터 그래픽의 ‘트위닝(Tweening) 기법’**을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 트위닝(Tweening)이란?
- "트위닝(Tweening)"이란 두 개의 키프레임(Keyframe) 사이의 중간 프레임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자연스럽게 변형하는 기술
- 애니메이션 및 컴퓨터 그래픽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
- Adobe After Effects, CSS 애니메이션, SVG 애니메이션에서도 활용됨
✅ PowerPoint의 Morph 전환 방식
- 개체(도형, 이미지, 텍스트)의 속성을 분석
- 첫 번째 슬라이드와 두 번째 슬라이드의 개체 비교
- 변경된 속성들을 계산하여 트위닝(Tweening) 알고리즘을 통해 중간 프레임 자동 생성
- 최적화된 애니메이션 적용
- 최종적으로 모핑 효과가 부드럽게 표현됨
📌 즉, PowerPoint의 Morph는 기본적으로 트위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개체 감지 로직을 사용하여 두 개의 슬라이드 간 변화를 자동 애니메이션화하는 기술!
'디자인 > 파워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포인트 텍스트 박스 글자수만큼 자동으로 넓어지게 설정하기 - 글자 작성 시 박스 가로 크기 자동 조정 설정 방법 (0) | 2025.01.30 |
---|---|
파워포인트 슬라이드페이지에 객체 레이어들 다 보여주는 선택 창 보는 방법 단축키 (0) | 2025.01.19 |
파워포인트 도형에 사진 비율 자동 맞춤 방법 - 채우기, 맞춤, 도형 비율 설정에 대해 (0) | 2025.01.19 |